[TeledyneLeCroy] "Ext In에 50옴 터미네이터를 사용해도 괜찮을까요?" 포스팅 업데이트
- 2022-08-08
- 조회수2493
최근 한 블로그 구독자가 Eric Bogatin 박사의 블로그 게시물인 오실로스코프의 50 Ohm 입력과 1 MOhm 입력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 지에 대한 방법을 설명한 포스팅에 댓글로 "오실로스코프 내부 50 Ohm 터미네이션 대신 외부에 50 Ohm 터미네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두 가지 방법에서의 차이가 있나요"라는 질문을 올렸습니다. 사용하는 케이블은 예를 들어 RG58/RG174 케이블 사용하는 경우.
Eric Bogatin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.
"원칙적으로 오실로스코프 입력을 1 MOhm 으로 설정하고 BNC Tee 커넥터에 외부 50 Ohm 터미네이션 저항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 방법은 실제 사용하는 저항을 사용할 수도 있고, RMS 전압이 5V 보다 큰 전압을 종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(참고 : 오실로스코프의 내부 50옴 터미네이션을 사용하는 경우, 최대 전압이 대부분 5V로 제한됩니다.)
하지만 상승 시간이 1nsec 미만인 고속 신호에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, 1GHz 보다 높은 대역폭의 오실로스코프가 필요하여, 두 가지 문제가 있으며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데는 두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.
문제 #1은 고속 오실로스코프에는 실제로 두 개의 증폭기가 있다는 것입니다. 하나는 1 MOhm 입력 저항을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50 Ohm 저항을 사용합니다. 터미네이션을 변경하면 사용하는 증폭기도 다릅니다. 1 MOhm 증폭기는 최대 1GHz 대역폭까지 올라가지만 50 Ohm 증폭기는 오실로스코프가 지원하는 모든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문제 #2는 BNC 티(또는 외부 어댑터)를 사용할 때 신호에 스텁을 추가한다는 것입니다. 1GHz보다 큰 주파수에서 스텁의 영향을 볼 수 있습니다.
그러나 ≤ 1GHz 대역폭의 오실로스코프에서 < 1GHz 신호를 측정하는 경우 외부 50Ohm 터미네이션을 사용해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"